몬테네그로 1부 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테네그로 1부 리그는 몬테네그로의 최상위 축구 리그로,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이후 창설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가 최상위 리그였으며, 몬테네그로 클럽들은 세르비아 클럽들과 함께 리그에 참여했다. 현재 10개 팀이 참가하며,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에, 2, 3위 팀과 컵대회 우승팀은 UEFA 유로파 컨퍼런스리그 예선에 진출한다.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가 6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몬테네그린 더비는 부두치노스트와 FK 수체스카 닉시치 간의 주요 라이벌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 축구에 관한 - OFK 티토그라드
OFK 티토그라드는 1951년 창단되어 FK 믈라도스트에서 OFK 티토그라드로 팀명을 변경한 몬테네그로의 축구 클럽으로,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주로 2, 3부 리그에 속했지만 몬테네그로 독립 후 1부 리그에서 우승 및 컵 우승을 차지했으며 데얀 사비체비치,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스테반 요베티치 등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 몬테네그로 축구에 관한 -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는 1925년 창단되어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 참가했던 몬테네그로의 대표적인 축구 클럽으로, 몬테네그로 독립 후 1부 리그 6회 우승과 컵 5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바르바리" 팬 그룹의 열정적인 응원과 FK 수테스카와의 더비 경기로 유명하다. - 2004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중국 그랑프리
중국 그랑프리는 중국에서 개최되는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 경주로, 2004년 첫 개최 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잠시 중단되었다가 2024년 재개되었으며 루이스 해밀턴이 최다 우승, 메르세데스가 컨스트럭터 부문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 2004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AFC 챔피언스리그 투
AFC 챔피언스리그 투는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2024/25 시즌부터 3개 티어 시스템으로 개편되면서 신설되었으며, AFC컵의 기록을 계승하여 32개 팀이 동아시아와 서아시아로 나뉘어 참가하고, 결승전은 단판 승부로 우승 상금은 250만 달러이다.
몬테네그로 1부 리그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몬테네그로 |
연맹 | UEFA |
창립 | 2006년 |
참가 팀 수 | 10 |
강등 | 몬테네그로 2부 리그 |
리그 단계 | 1 |
국내 컵 | 몬테네그로 컵 |
대륙 컵 |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최근 우승 팀 | 데치치 (1번째 우승) |
최근 시즌 | 2023–24 시즌 |
최다 우승 팀 | 부두치노스트 (6회) |
최다 출장 선수 | 이반 노보비치 (444회) |
최다 득점 선수 | 자르코 코라치 (121골) |
방송사 | RTCG 아레나 스포르트 MNE 스포르트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현재 시즌 | 2024–25 시즌 |
명칭 | |
로마자 표기 | Prva crnogorska fudbalska liga |
2. 역사
몬테네그로 1부 리그는 몬테네그로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였던 시절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가 최상위 리그였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성립 후에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팀들은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 참가했다. 2003년 국명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변경되면서 축구 리그도 이에 맞춰 바뀌었고, 이 시기 몬테네그로 1부 리그는 2부 리그 중 하나였다.
2006년 몬테네그로가 독립하면서 몬테네그로 1부 리그는 몬테네그로 최상위 전국 리그가 되었다.
2. 1. 독립 이전 (1922-2006)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절인 1922년, 몬테네그로 클럽들은 몬테네그로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1][2][3] 전국적인 유고슬라비아 축구 선수권 대회가 있었지만, 몬테네그로 팀들은 참가하지 않았다. 이 대회는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까지 열렸다.당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팀들은 ''SK 츠르노고라츠 체티녜'' (10회 우승), ''GSK 발시치 포드고리차'' (7회), FK 로브첸 체티네 (5회),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4회), FK 아르세날 티바트 (1회)였다. SK 츠르노고라츠와 GSK 발시치는 모든 시즌에 참가했지만, FK 부두치노스트와 FK 로브첸은 1935년 유고슬라비아 왕국 정부에 의해 노동자 클럽으로 지정되어 활동이 금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만들어지면서,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가 최상위 리그가 되었다. 몬테네그로 팀들은 전국 리그에 참가했고, 몬테네그로 공화국 리그는 하위 리그 역할을 했다. 이 시기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두각을 나타낸 클럽은 FK 부두치노스트와 FK 수체스카였다.
FK 부두치노스트는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창립 멤버였으며, 창립 시즌부터 참가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 대부분 동안 1부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몬테네그로에서 최상위 리그에 참가한 또 다른 팀은 FK 수체스카였다. 다른 팀들은 유고슬라비아 2부 리그 또는 하위 리그에서 활동했다. 그중 가장 성공적인 팀은 FK 로브첸으로, 1부 리그 예선에 두 번 참가했지만, 아쉽게도 승격에는 실패했다.
1946년부터 1992년까지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서 몬테네그로 팀들의 성적은 다음과 같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해체되면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팀들은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라는 이름으로 리그에서 활동했다. 2003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되었고 축구 리그의 이름도 바뀌었다. 몬테네그로 클럽들은 1992년부터 2006년까지 세르비아 클럽들과 함께 1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이 기간 동안 몬테네그로 대표팀은 FK 부두치노스트, FK 수체스카, FK 루다르, FK 모그렌, FK 제타, FK 콤 그리고 FK 예딘스트보였다.
1992년부터 2006년까지 FR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서 몬테네그로 팀들의 성적은 다음과 같다.
클럽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00 | 01 | 02 | 03 | 04 | 05 | 06 |
---|---|---|---|---|---|---|---|---|---|---|---|---|---|---|
부두치노스트 | 10 | 6 | 11 | 14 | 10 | 8 | 14 | 12 | 15 | - | - | - | 6 | 14 |
수체스카 | 16 | 18 | 19 | - | 20 | 21 | - | 5 | 7 | 11 | 4 | 8 | 15 | - |
모그렌 | 13 | 20 | - | - | - | - | 15 | 19 | - | - | 16 | - | - | - |
루다르 | - | 13 | 20 | - | - | 20 | - | - | - | 7 | 17 | - | - | - |
제타 | - | - | - | - | - | - | - | 13 | 5 | 8 | 11 | 3 | 5 | |
콤 | - | - | - | - | - | - | - | - | - | - | 16 | - | - | |
예딘스트보 | - | - | - | - | - | - | - | - | - | - | - | - | 16 | |
2004–05 시즌, 전국 2부 리그가 해체되었고, 대신 연합의 양국 공화국에 대한 두 개의 지역 리그가 1부 리그로 승격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시대에 유럽 대회에 참가한 몬테네그로 팀은 FK 부두치노스트, FK 수체스카, FK 제타였다.
1946년부터 2006년까지 몬테네그로 클럽들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946–1992),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1992–2001),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2001–2006)의 1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1946년부터 2006년까지의 1부 리그 기록은 다음과 같다.
클럽 | 도시 | 시즌 | 첫 시즌 | 마지막 시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실차 | 승점 |
---|---|---|---|---|---|---|---|---|---|---|
부두치노스트 | 포드고리차 | 37 | 1946–47 | 2005–06 | 1152 | 386 | 266 | 500 | 1274:1625 | 1424 |
수체스카 | 니크시치 | 20 | 1964–65 | 2004–05 | 671 | 217 | 136 | 318 | 776:1029 | 787 |
제타 | 골루보브치 | 6 | 2000–01 | 2005–06 | 188 | 83 | 34 | 71 | 269:250 | 283 |
루다르 | 플레블랴 | 6 | 1993–94 | 2002–03 | 206 | 66 | 41 | 99 | 217:277 | 239 |
모그렌 | 부드바 | 5 | 1993–94 | 2002–03 | 170 | 44 | 35 | 91 | 171:289 | 167 |
콤 | 포드고리차 | 1 | 2003–04 | 2003–04 | 30 | 4 | 2 | 24 | 21:67 | 14 |
예딘스트보 | 비옐로폴리에 | 1 | 2005–06 | 2005–06 | 30 | 3 | 2 | 25 | 18:72 | 11 |
2. 2. 독립 이후 (2006-현재)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국민투표 이후, 몬테네그로 1부 리그(Prva CFL)가 최상위 리그로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12개 팀이 참가했으나, 2017-18 시즌부터 10개 팀으로 축소되었다.프르바 CFL의 첫 경기는 2006년 8월 11일 플레블랴에서 열렸으며, FK 루다르와 FK 부두치노스트의 경기에서 원정팀이 0-2로 승리했다. 이반 차라피치(부두치노스트)가 경기 5분 만에 프르바 CFL 역사상 첫 골을 기록했다.[4]
초대 챔피언은 제타였으며, 부두치노스트와의 치열한 경쟁 끝에 우승컵을 들어올렸다.[4] 다음 시즌에는 부두치노스트가 첫 우승을 차지했다.[7] 브랑코 바비치는 프르바 CFL 타이틀을 획득한 최초의 외국인 감독이 되었다.
2008-09 시즌에는 모그렌[8]이, 2009-10 시즌에는 루다르[9]가 각각 우승을 차지했다. 2010-11 시즌에는 모그렌이 두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11] 부두치노스트는 2011-12 시즌에 두 번째 트로피를 획득했다.[12]
수체스카는 2012-13 시즌과 2013-14 시즌에 2연패를 달성한 최초의 클럽이 되었다.[13][14] 2014-15 시즌에는 루다르[15]가 두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 프르바 CFL의 열 번째 시즌에는 OFK 티토그라드가 창단 첫 우승을 차지했다.[16]
FK 부두치노스트는 2016-17 시즌에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17][18] 2017-18 시즌에는 FK 수체스카[19]가, 2018-19 시즌에는 FK 수체스카가 네 번째 타이틀을 획득하며 2연패를 달성했다.[20][21][22][23] 니콜라 라코예비치는 세 번의 우승을 차지한 최초의 감독이 되었다.
2019-20 시즌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으나, 결국 31주차 이후의 순위가 최종 순위로 결정되면서 FK 부두치노스트가 우승을 차지했다.[24][25][26] FK 부두치노스트는 2020-21 시즌에도 우승을 차지하며 2연패를 달성했다.
FK 수체스카는 2021-22 시즌에 다시 우승을 차지했다.
2006-07 시즌부터 2023-24 시즌까지 18시즌 동안 FK 부두치노스트와 FK 수체스카가 각각 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FK 루다르와 FK 모그렌이 각각 2회, FK 제타와 OFK 티토그라드가 각각 1회 우승했다.
참가 클럽 (2006-2024)2006-07 시즌부터 2023-24 시즌까지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는 총 23개의 클럽이 참가했다. 부두치노스트, 수티에스카, 페트로바츠는 모든 시즌에 참가했다.
순위 | 클럽 | 도시 | 시즌 | 첫 시즌 | 마지막 시즌 | 최고 순위 |
---|---|---|---|---|---|---|
1 | 부두치노스트 | 포드고리차 | 18 | 06–07 | 23–24 | 1위 |
2 | 수티에스카 | 닉시치 | 18 | 06–07 | 23–24 | 1위 |
3 | 루다르 | 플레블랴 | 18 | 06–07 | 23–24 | 1위 |
4 | 제타 | 골루보브치 | 16 | 06–07 | 21–22 | 1위 |
5 | 페트로바츠 | 페트로바츠 | 18 | 06–07 | 23–24 | 5위 |
6 | 그르발 | 라다노비치 | 14 | 06–07 | 19–20 | 3위 |
7 | 데치치 | 투지 | 14 | 06–07 | 23–24 | 3위 |
8 | 티토그라드 | 포드고리차 | 13 | 06–07 | 20–21 | 1위 |
9 | 모그렌 | 부드바 | 9 | 06–07 | 14–15 | 1위 |
10 | 로브첸 | 체티네 | 11 | 07–08 | 18–19 | 2위 |
11 | 모르나르 | 바르 | 10 | 09–10 | 23–24 | 2위 |
12 | 이스크라 | 다닐로브그라드 | 8 | 15–16 | 22–23 | 3위 |
13 | 예제로 | 플라브 | 5 | 08–09 | 23–24 | 5위 |
14 | 콤 | 포드고리차 | 6 | 06–07 | 19–20 | 7위 |
15 | 예딘스트보 | 비옐로폴리에 | 6 | 06–07 | 23–24 | 5위 |
16 | 보켈 | 코토르 | 5 | 07–08 | 16–17 | 4위 |
17 | 포드고리차 | 포드고리차 | 3 | 19–20 | 21–22 | 4위 |
18 | 첼리크 | 닉시치 | 2 | 12–13 | 13–14 | 3위 |
19 | 베라네 | 베라네 | 4 | 06–07 | 14–15 | 11위 |
20 | 아르세날 | 티바트 | 2 | 22–23 | 23–24 | 3위 |
21 | 믈라도스트 | 포드고리차 | 1 | 23–24 | 23–24 | 9위 |
22 | 바르 | 바르 | 1 | 10–11 | 10–11 | 12위 |
23 | 오트란트 | 울친 | 1 | 24–25 | 24–25 | 데뷔 |
colspan="30" | |
style="width:10px; background:#ace1af;" | | 2024–25 몬테네그로 1부 리그 |
style="width:10px; background:#fbe08d;" | | 2024–25 몬테네그로 2부 리그 |
style="width:10px; background:#ebc9fe;" | | 몬테네그로 3부 리그 |
style="width:10px; background:#bbb;" | |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 |
몬테네그로 1부 리그는 10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각 팀당 4번씩, 총 36경기를 치른다. 리그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리그 1차 예선에 진출한다. 리그 2위, 3위 팀과 몬테네그로 컵 우승팀은 UEFA 유로파 컨퍼런스리그 1차 예선에 진출한다. 최하위 팀은 몬테네그로 2부 리그로 자동 강등된다. 8위와 9위 팀은 몬테네그로 2부 리그 2위, 3위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26]
2006-07 시즌부터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는 총 23개 클럽이 참가했다. 부두치노스트, 수티에스카, 페트로바츠는 모든 시즌에 참가한 클럽들이다.
[1]
웹사이트
Traume odrastanja crnogorskog fudbala
http://www.vijesti.m[...]
2017-09-17
3. 리그 진행 방식
매 시즌 종료 후, 최하위 팀은 몬테네그로 2부 리그로 강등되고, 2부 리그 우승팀은 1부 리그로 승격된다. 또한, 매 시즌 1부 리그와 2부 리그에서 각각 두 팀이 플레이오프에 참가한다.
다음은 매 시즌 직접 승격 및 강등된 팀 목록이다.연도 Image:Arrow-down.gif 직접 강등 Image:Arrow-up.gif 직접 승격 2007 FK 베라네 FK 로브첸 2008 FK 믈라도스트 포드고리차 FK 예제로 2009 FK 예딘스트보 FK 베라네 2010 FK 콤 FK 믈라도스트 포드고리차 2011 OFK 바르 FK 보켈 2012 FK 보켈 FK 첼리크 2013 FK 예딘스트보 FK 데치치 2014 FK 데치치 FK 보켈 2015 FK 베라네 FK 이스크라 2016 FK 모르나르 FK 예딘스트보 2017 FK 예딘스트보 FK 콤 2018 FK 데치치 FK 모르나르 2019 FK 모르나르 FK 포드고리차 2020 OFK 그르발 FK 데치치 2021 OFK 티토그라드 FK 모르나르 2022 FK 제타 FK 예딘스트보 2023 FK 이스크라 OFK 믈라도스트 DG 2024 FK 루다르 FK 보켈
몬테네그로 1부 리그 플레이오프는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서 직접 강등을 면한 팀과 몬테네그로 2부 리그에서 직접 승격을 하지 못한 팀 간의 2차전 토너먼트이다. 다음은 각 시즌별 플레이오프 참가팀 목록이다.† 플레이오프 우승팀. 시즌 1부 리그 참가팀 2부 리그 참가팀 2007 FK 데치치 FK 예디인스트보 FK 보켈 FK 이바르 2008 FK 수트예스카 FK 보켈 FK 예디인스트보 FK 첼리크 2009 FK 데치치 FK 예제로 FK 모르나르 OFK 티토그라드 2010 FK 베라네 FK 모르나르 FK 브라트스트보 OFK 바르 2011 FK 수트예스카 FK 모르나르 FK 베라네 FK 예디인스트보 2012 FK 데치치 FK 베라네 FK 모르나르 FK 예디인스트보 2013 FK 모그렌 FK 모르나르 FK 보켈 FK 자비엘로 2014 FK 모그렌 FK 모르나르 FK 베라네 FK 예제로 2015 FK 모르나르 FK 모그렌 FK 데치치 OFK 이갈로 2016 FK 이스크라 OFK 페트로바츠 FK 체티네 FK 브라트스트보 2017 OFK 페트로바츠 FK 루다르 FK 오트란트 FK 이바르 2018 FK 콤 OFK 페트로바츠 FK 포드고리차 FK 로브첸 2019 FK 루다르 FK 로브첸 FK 콤 FK 보켈 2020 OFK 티토그라드 FK 콤 FK 예제로 FK 보켈 2021 FK 이스크라 OFK 페트로바츠 FK 아스널 FK 이갈로 2022 FK 루다르 FK 포드고리차 FK 아스널 OFK 믈라도스트 DG 2023 FK 모르나르 FK 루다르 FK 콤 FK 베라네 2024 FK 예디인스트보 OFK 믈라도스트 DG FK 오트란트 FK 포드고리차
4. 참가 클럽
2006-07 시즌부터 2016-17 시즌까지는 12개 팀이 참가했고, 2017-18 시즌부터는 10개 팀이 참가하고 있다. 1개 팀이 자동 강등되고, 1부 리그 하위 2개 팀(2006-07 시즌부터 2016-17 시즌까지는 10위와 11위, 2017-18 시즌부터는 8위와 9위)은 2부 리그 상위 2개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방식으로 운영된다.[26]
2019-20 시즌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2020년 3월에 중단되었다가 5월에 재개되었으나, 7월에 다시 중단되면서 31주차까지의 순위가 최종 순위로 확정되었다.[24][25]
하위 섹션인 "2024-25 시즌 참가 클럽"과 "역대 참가 클럽"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더 이상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참조
[2]
웹사이트
FUDBAL U CRNOJ GORI DO DRUGOG SVJETSKOG RATA (I): Lovćen – prvi fudbalski klub
http://www.monitor.c[...]
2012-06-15
[3]
웹사이트
BARinfo - Naši klubovi drugačijeg imena
http://barinfo.me/te[...]
2017-01-19
[4]
뉴스
Zeta prvi šampion Crne Gore
http://www.b92.net/s[...]
2007-05-26
[5]
웹사이트
Budućnost dobila, prekid u Beranama
https://www.b92.net/[...]
[6]
웹사이트
FSCG: Zeta - Budućnost 0:3
https://www.b92.net/[...]
[7]
웹사이트
Deset godina od istorijske titule Budućnosti
https://m.cdm.me/spo[...]
2018-05-17
[8]
웹사이트
T-Com 1. CFL (33. kolo) - Mogren šampion!
https://fscg.me/vije[...]
[9]
웹사이트
Rudar novi šampion Crne Gore
https://www.b92.net/[...]
[10]
웹사이트
Table
https://fscg.me/file[...]
2020-10-19
[11]
웹사이트
T-Com 1.CFL (33.kolo) - Mogren šampion!
https://fscg.me/vije[...]
[12]
웹사이트
Budućnost šampion!- Najnovije vijesti iz Pljevalja | - Najnovije vijesti iz Pljevalja
http://pvportal.me/2[...]
2012-05-26
[13]
웹사이트
Fešta kraj Bistrice: Sutjeska šampion prvi put u istoriji
https://www.vijesti.[...]
2013-06-01
[14]
웹사이트
Remi Sutjeske i Lovćena, Nikšićani nadomak titule
https://www.vijesti.[...]
2014-05-24
[15]
웹사이트
Rudar šampion- Najnovije vijesti iz Pljevalja | - Najnovije vijesti iz Pljevalja
http://pvportal.me/2[...]
2015-05-30
[16]
웹사이트
CRNA GORA: Mladost šampion!
http://sportklub.rs/[...]
2016-05-15
[17]
웹사이트
Vlaisavljević: Nije kažnjena Zeta, nego crnogorski reprezentativci • CG-Fudbal
https://cg-fudbal.co[...]
2017-04-21
[18]
웹사이트
Prekinuto pod Goricom, Budućnost gubi titulu?
https://www.vijesti.[...]
2017-05-20
[19]
웹사이트
Sutjeska novi šampion Crne Gore
https://fscg.me/vije[...]
2018-04-21
[20]
웹사이트
Uznemirujuće: Krvave glave kao epilog fudbalskog derbija u Nikšiću
https://www.vijesti.[...]
2019-04-03
[21]
웹사이트
Ekskluzivno: Pogledajte kako je počeo incident u Nikšiću
https://www.cdm.me/h[...]
2019-04-04
[22]
웹사이트
Sukob Varvara i policije, povrijeđeno šest policajaca
https://www.cdm.me/h[...]
2019-04-03
[23]
웹사이트
Varvari: Policijaci su nam rekli da će nas sve u tamnicu poslati
https://www.cdm.me/s[...]
2019-04-03
[24]
웹사이트
Saopštenje sa X sjednice Izvršnog odbora
https://fscg.me/vije[...]
[25]
웹사이트
Saopštenje Izvršnog odbora - 07.07.2020.
https://fscg.me/vije[...]
[26]
웹사이트
Izvršni odbor FSCG odlučio: Završena sezona, trenutni plasman je i konačan | FOS Media
https://fosmedia.me/[...]
[27]
웹사이트
1932-1933
http://www.exyufudba[...]
2017-09-17
[28]
웹사이트
Table
https://fscg.me/file[...]
2020-10-19
[29]
웹사이트
Table
https://fscg.me/file[...]
2020-10-19
[30]
웹사이트
Table
https://fscg.me/file[...]
2020-10-19
[31]
웹사이트
Table
https://fscg.me/file[...]
2020-10-19
[32]
웹사이트
Table
https://fscg.me/file[...]
2020-10-19
[33]
웹사이트
Almanah Fudbalskog Saveza Crne Gore 2012/2013
https://fscg.me/file[...]
2020-03-13
[34]
웹사이트
Table
https://fscg.me/file[...]
2020-10-19
[35]
웹사이트
Table
https://fscg.me/file[...]
2020-10-19
[36]
웹사이트
Table
https://fscg.me/file[...]
2016
[37]
웹사이트
Table
https://fscg.me/file[...]
2017
[38]
웹사이트
Table
https://fscg.me/file[...]
2017
[39]
웹사이트
Vučinić i Vujović najbolji u CG
http://www.b92.net/s[...]
2017-09-17
[40]
웹사이트
FSCG: Vukićević, Vuković i Jovetić
http://www.b92.net/s[...]
2017-09-17
[41]
웹사이트
Mirko Vučinić fudbaler godine
http://www.vijesti.m[...]
2017-09-17
[42]
웹사이트
Bošković: Drago mi je da ljudi prepoznaju kvalitet
http://www.vijesti.m[...]
2017-09-17
[43]
웹사이트
Vučinić, Igumanović i Bubanja
http://www.vijesti.m[...]
2017-09-17
[44]
웹사이트
FSCG: Mirko Vučinić fudbaler godine
http://portalanaliti[...]
2017-09-17
[45]
웹사이트
Baša: Najdraži trofej u karijeri
http://www.vijesti.m[...]
2017-09-17
[46]
웹사이트
FSCG: Jovetić i Šćepanović najbolji u 2015. godini - FK Mladost
http://fkmladost.me/[...]
2015-12-29
[47]
웹사이트
FSCG izabrao: Savić ubjedljivo najbolji, Rakojević trener godine - fudbal - pvinformer.me
http://pvinformer.me[...]
2017-09-17
[48]
웹사이트
Stefan Savić najbolji fudbaler Crne Gore
http://fscg.me/vijes[...]
2018-01-01
[49]
웹사이트
Info
https://fscg.me/vije[...]
2018
[50]
웹사이트
Info
https://fscg.me/vije[...]
2019
[51]
웹사이트
Radojičić: Potrudiću se da opravdam povjerenje
http://www.vijesti.m[...]
2017-09-17
[52]
웹사이트
Portal Analitika - najvažnije vijesti iz Crne Gore i svijeta
https://www.portalan[...]
[53]
문서
Capacity reduced to third due to COVID-19 pandemic in Montenegro
[54]
웹사이트
Predstavljeni amblemi fudbalskih takmičenja
https://fscg.me/vije[...]
2020-10-19
[55]
웹사이트
Mečevi CFL-a od subote na Areni sport?
http://www.vijesti.m[...]
2017-09-17
[56]
웹인용
UEFA Country Ranking 2007
http://www.kassiesa.[...]
2007-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